Quantcast
Channel: 동고동락
Viewing all articles
Browse latest Browse all 1537

군 전문성을 살리는 유급지원병 입대 가이드

$
0
0

군 전문성을 살리는 유급지원병 입대 가이드




기존 '장기하사' 제도가  ‘육군 유급지원병’으로 그 이름이 바뀌었습니다. 육군 유급지원병 제도는 육군의 첨단 장비 운용과 전투력을 최대로 발휘할 수 있도록 병 의무 복무 이후 하사로 연장 복무하는 것을 말합니다. 갈수록 심해지고 있는 취업난과 장기 경기 불황으로 인해 유급지원병 지원자가 대폭 늘어났다고 하는데요. 지금부터 59개 군사 특기에서 모집이 이뤄지는 유급지원병, 어떻게 지원할 수 있는지 군 입대 가이드에서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유급지원병제’란?


▲전문하사로 동시에 임관한 이찬양(오른쪽)·정영식 하사

(사진 출처 : 국방일보)


2007년 11월 26일 모집을 시작해 2008년부터 시행된 ‘유급지원병제’는 ‘전문병제(專門兵制)’라고도 불리며, 

군(軍) 복무 기간 단축으로 인한 전투력 저하를 방지할 목적으로 숙련도와 전문성을 필요로 하는 직위에 대하여 의무 복무 기간을 마친 지원자에 한하여 6~18개월 동안 추가로 복무하게 하는 제도입니다. 


이를 위해 정부는 2006년 12월 '국방 개혁에 관한 법률'을 제정하여 유급지원병제를 도입하는 근거를 마련하고, 2007년 7월 개정 된 병역법을 통해 연장 복무 기간과 보수를 정했습니다. 또 2007년 11월 국회 본회의를 통과한 군인사법 개정안을 통해 연장 복무 기간에 하사 계급을 부여하기로 했습니다.  


유급지원병의 복무 기간과 보수


유급지원병의 복무 유형은 두 가지로 구분됩니다. 각 군에서 선발하는 '유형1'은 의무 복무 기간을 마친 뒤 6개월에서 18개월까지 복무를 연장하는 경우고, 병무청장이 선발하는 '유형2'는 입대하면서부터 3년 동안 복무하는 것입니다. '유형1'은 전투 및 기술 숙련 인력으로서 분대장, 레이더 정비병 등이 해당됩니다. '유형2'는 첨단 장비 전문 인력으로서 차기 전차와 KDX-Ⅲ 구축함, K-9 자주포, 유도탄 등의 분야에 활용되고 있습니다. 



▲ 교육생들에게 60㎜ 박격포 사격 요령을 지도하고 있는 전문하사 출신 최병민 중사

(사진 출처 : 국방일보 )



의무 복무 기간에는 다른 일반 병사들처럼 이등병부터 병장까지 현행 병사 계급과 동일하며, 연장복무 기간에는 하사 계급이 부여됩니다. 보수는 ‘유형1’의 경우 연장 복무 기간에 월 급여로 지급되며, '유형 2'의 경우에는 입대하면서부터 3년 동안 복무하는데 따른 별도의 장려 수당이 지급됩니다. 또 유급지원병을 안정적으로 확보하기 위하여 정해진 보수 외에 부사관·장교 및 각 후보생으로 지원할 수 있는 자격도 부여합니다. 



각 군 유급지원병 보수 


▶육군: 월 200여만원(하사3호봉 + 장려 수당90만원) / 하사 임용시부터 지급

▶해군: 연봉 2,400여만원(하사 임용시부터 지급) / 월 급여 약 200만원(하사3호봉+장려 수당90만원)/ 함정 수당 별도 지급

▶해병대: 연봉 2,300여만원(하사 임용시부터 지급)/ 월 급여 약132만원(하사3호봉+장려 수당 30만원)/ 별도 장려 수당 월60만원

▶공군: 연봉 2,300여만원(하사 임용시부터 지급)/ 월 급여 약132만원(하사3호봉+장려 수당30만원)/ 별도 장려 수당 : 월60만원




유급지원병의 지원 자격


유급지원병은 지원서 접수 연도 기준으로 18세 이상 28세 이하인 사람이 지원할 수 있습니다. 2016년 기준으로 88년 1월 1일 생부터 98년 12월 31일 사이 출생자가 지원할 자격이 있는 대상자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학력은 고등학교 졸업 이상 또는 이와 동등한 학력의 소지자들과 징병 신체검사를 하고 신체 등위 3급 이상 나온 사람이 지원 가능합니다. 이 밖에 각 군별 유급지원병의 상세 지원 자격은 아래 표와 같습니다. 



▲각 군별 유급지원병 지원 자격

(내용 출처 : 병무청 공식 블로그)





유급지원병의 군사 특기 임무 및 모집 분야 


▲조부와 부친, 형에 이어 해군 전문하사로 지원해 화재가 됐던 이현석 병장(2010년 1월 당시 계급) 

(사진 출처 : 국방일보)



‘유형2’에 해당하는 유급지원병은 첨단 군사 장비 운영 분야에 지원할 수 있으며, 각 군별 모집 분야는 다음과 같습니다. 


▶육군 : K9자주포 조종수, M/W 장비 운용병 등 60개 군사 특기 

▶해군 : 일반, 기관, 전자, 전기, 전산, 조리, 수송, 특전(UDT), 잠수(SSU) 분야   

▶해병대: 일반 계열 

▶공군: 중거리 유도 무기 사격 통제 운용 직종



모집하는 군사 특기명, 지원 자격, 관련 사진 등에 관한 상세한 자료들은 병무청 홈페이지

(http://www.mma.go.kr/)를 통해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 군사 특기에 걸쳐서 2016년도에 입영계획이 있다고 하니 지원자들은 자신에게 맞는 군사 특기는 무엇인지 모집 기간은 언제인지 홈페이지를 통해서 잘 알아두는 것이 좋겠습니다.



지원 절차와 지원서 접수


먼저 온라인 병무청 홈페이지에서 지원서 접수(매월 초~중순)를 받고 1차 합격자를 발표합니다. 합격자들에 한해서 면접과 신체검사를 보고 최종 합격자를 발표합니다. 이 과정에서 어떠한 기준으로 점수를 평가하여 합격과 불합격이 결정되는지 한번 살펴보겠습니다.  



구분

 1차평가

 2차평가

 계

 자격면허

전공학과

출결상황 

가산점 

 면접

 배점

40 

35

10 

15 

 적격/부적격

100 



1차 평가와 2차 평가표입니다. 1차 평가 때에 자격 면허와 전공 학과를 중점적으로 평가합니다. 배점은 각각 40점, 35점입니다. 여기서 고득점자 순으로 1차 합격자를 선발하고 2차 평가 때에는 면접, 신체검사, 범죄 경력 조회를 거쳐 고득점자를 선발하게 됩니다. 


최종 평가에서 합계 점수가 같을 경우, 면허가 높은 순 ▶ 전공 학과 점수가 높은 순▶ 가산점 총괄 고득점자 순▶생년월일이 빠른 순으로 우선 순위를 적용합니다. 최종 평가에서 선발된 자는 지원서를 접수한 달로부터 4개월 차에 충남 논산훈련소에 입대하게 됩니다. 입영 후에는 개인 사유로 유급지원병을 중도에 포기할 수 없으니 신중히 지원해주세요.



▲첫 쌍둥이 형제 전문하사로 화제가 됐던 조창영(형)·조창민 병장(2008년 6월 당시 계급)

(사진 출처 : 국방일보)


지금까지 유급지원병 제도에 대해서 알아봤습니다. 유급지원병은 전문성을 바탕으로 보람을 느끼고 자부심을 가질 수 있는 직무입니다. 더불어 하사로 임관 후에는 일정 수준의 보수도 받을 수 있어 경제적인 면에서도 큰 매력이 있는 보직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유급지원병에 관심 있는 분들은 매달 초에서 중순 사이 병무청 온라인 홈페이지를 통해 공지되는 각 군사 특기별 지원 날짜를 꼼꼼히 체크하시고, 특별한 군 복무에 도전해 보세요. 충성!




저작자 표시비영리변경 금지

Viewing all articles
Browse latest Browse all 1537

Trending Articl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