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uantcast
Channel: 동고동락
Viewing all articles
Browse latest Browse all 1537

[군입대가이드] 국가 안보의 선봉, 대한민국 최전방 수호병

$
0
0

국가 안보의 선봉, 대한민국 최전방 수호병


▲ GOP 경계 근무 중인 육군 제15사단 병사들 (사진 출처 : 대한민국 국군 플리커)


육군 기준 올해 평균 입대 경쟁률이 8:1을 기록했습니다. 입영 정체 현상과 함께 국가 안보에 대한 청년층의 관심도가 높아짐에 따라 자원입대 신청 비율이 늘어나고 있는 것입니다. 최근에는 ‘신안보세대’라는 신조어까지 탄생했는데요. 조국의 안보를 위해 전역을 연기한 장병들이나 입대를 자원한 젊은 세대를 일컫는 말입니다. 

신안보세대의 눈에 띄는 행보 중 하나가 바로 ‘최전방’ 지원자들이 늘어났다는 점입니다. 올해 처음 실시된 ‘대한민국 최전방 수호병(기존 분·소대 전투병)’ 제도를 이용해 입영한 인원이 1만명을 돌파했습니다. 입영 대상자들의 큰 호응에 따라 정부에서는 11월 접수자부터 선발인원을 150%에서 200%로 확대 실시할 예정인데요. 오늘은 대한민국 최전방 수호병 제도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분·소대전투병에서 이름 바꿔 자긍심 Up!


휴전 상황인 우리나라는 DMZ(비무장지대)를 사이에 두고 북한군과 대치해 있습니다. 이른바 전방 사단은 GOP(General Outpost, 남방한계선에 있는 소대 단위 초소)와 GP(Guard Post, 휴전선에 있는 감시 초소) 등을 두고 불철주야 경계 임무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육군에서는 올해 1월부터 이 전방 사단 근무를 지원하는 ‘대한민국 최전방 수호병(이하 최전방 수호병)’ 제도를 시작했습니다. 여기에 선발될 경우 육군 1·3군 예하 전방 사단에서 ‘소총병’ 직위에 배치, 전투·경계 근무나 수색 정찰 임무를 수행하게 됩니다.

최전방 수호병은 기존 ‘분·소대 전투병’에서 명칭을 바꾼 것인데요. 별도의 명칭 공모 과정을 거쳐 실제 최전방에서 근무하고 있는 병사의 아이디어를 채택한 것입니다. 최전방 수호병에게는 자긍심 고취를 위해 용맹한 호랑이의 모습을 형상화한 ‘명예 휘장’이 수여됩니다. 이외에도 자신이 원하는 입대 시기를 결정할 수 있다는 점과 조부나 아버지가 근무했던 부대에서 대를 이어 근무할 수 있다는 점 등이 대표적인 장점으로 꼽히고 있습니다. 


▲ 육군 제 12사단 병사들이 한겨울 강추위를 뚫고 철책 경계에 나섰다.

(사진 출처 : 대한민국 국군 플리커)


육군 최정예 병사, 최전방 수호병이 되려면?


최전방 수호병의 지원자격은 다소 엄격합니다. 먼저 높은 임무 강도를 고려, 현역 입영 대상자 중 신체등위 1~2급 판정자에 한해 지원이 가능합니다. 디스크나 청력, 색약 등도 없어야하고 심리검사 결과 정밀검사 대상자는 지원이 제한됩니다. 

총기 사고 방지 등을 위해 범죄 경력조회 결과 강력범죄 등으로 벌금 이상의 형을 받았거나 일반 범죄로 금고 이상의 형을 받은 사람도 지원할 수 없습니다. 학력 기준 지원 자격은 중학교 졸업 이상의 학력 소지자 또는 교육부 장관이 인정하는 동등학력 소지자에 한합니다. 단 2015년 1월 27일 이후 징병검사를 받았거나 예정되어 있는 사람은 고졸 이상의 학력을 소지해야 합니다.


▲ 접수 기간은 매월 초순경으로, 구체적인 일정은 매월 업데이트 되는 ‘병무청 홈페이지 → 군 지원(모병) 안내 → 모집 안내 서비스→ 이달의 모집 계획’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최전방 수호병 모집안내 한 눈에 보기


▲ 평가요소 및 배점기준은 아래와 같습니다.

1. 신체검사(55점) : 1급(55점), 2급(50점)

2. 고교 출결상황/결석일자(30점) : 0일(30점), 1~2일(25점), 3~4일(20점), 5~6일(15점), 7일이상(10점)

3. 가산점(15점) : 

- 무도 유단자 : 3단 이상(5점), 2단(3점), 1단(2점), 무도대회 입상자(3점) 

- 자격증 : 응급구조사(5점), 생활체육지도자(3점) 

- 국가유공자자녀(4점) 

- 사회봉사활동 : 사회봉사(4점), 헌혈(4점)


* 최전방 수호병 평가요소 및 배점 한 눈에 보기


▲ 철책 인근에서 훈련 중인 육군 제 6사단 장병들 (사진 출처 : 대한민국 국군 플리커)


▲ 지원 절차는 대부분 병무청 홈페이지를 통해 이뤄집니다. 지원은 물론 서류 제출과 합격자 확인, 입영 통지서 수령까지 병무청 홈페이지에서 모두 확인이 가능합니다.


1. 지원 관련 정보 확인 : 병무청 홈페이지 → 군 지원(모병)안내 → 모집 안내 서비스 → 안내 및 지원 절차 & 이달의 모집 계획 

2. 지원서 접수 : 병무청 홈페이지 → 병무민원포털 → 군 지원 → 지원서 작성·수정·취소 

3. 1차 합격 여부 조회 및 수험표 출력 : 병무청 홈페이지 → 병무민원포털 → 군 지원 → 합격여부·입영통지서 출력, 신체검사 일정 등 확인

4. 구비 서류 제출 : 구비서류(해당자)를 응시 지방 병무청에 제출(1차 합격자 발표일 이후 5일 이내) 

5. 신체 검사 : 수험표의 신체검사 일정/장소 확인 후 참석. 단, 징병검사를 받지 아니한 사람만 실시

6. 최종 합격 여부 확인/입영통지서 수령 : 병무청 홈페이지 → 병무민원포털 → 군 지원 → 합격 여부 조회·입영 통지서 출력


* 최전방 수호병 지원절차 한 눈에 보기


▲ 별이 총총히 빛을 밝힌 GOP의 겨울 밤 (사진 출처 : 대한민국 국군 플리커)


지금까지 육군 최전방 수호병 입대와 관련한 내용을 소개해드렸습니다. 최전방에서의 근무는 모든 육군 병사들 중에서도 고작 1% 정도만 경험해볼 수 있다는 매우 특별한 임무입니다. 전역자들의 이야기를 들어보면 애국심 고취는 물론 개인적인 성숙까지 이룰 수 있는 좋은 기회라고 하네요. 대한민국 최정예 육군, 최전방 수호병에 도전해보시기 바랍니다. 충성!







저작자 표시비영리변경 금지

Viewing all articles
Browse latest Browse all 1537

Trending Articl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