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uantcast
Channel: 동고동락
Viewing all articles
Browse latest Browse all 1537

현충일은 어떤 날일까? 아름다운 용기가 잠든 곳, 국립현충원

$
0
0

현충일은 어떤 날일까?

- 아름다운 용기가 잠든 곳, 국립현충원-




6월이 호국보훈의 달이라는 것 모두 잘 알고 계시죠? 호국보훈이란 나라를 보호하고 지킨 공훈에 보답한다는 뜻입니다. 즉, 나라를 위해 목숨을 바친 애국선열들의 희생정신을 기린다는 뜻을 담아 현충일(6월 6일), 한국전쟁(6월 25일)이 일어난 6월을 기념해 국가보훈처에서 지정했답니다. 




대표적인 기념일인 6월 6일 현충일이 바로 이번 주 토요일인데요. 현충일이 6월 6일인 이유를 아시나요? 그 유래는 우리 조상들의 풍습과 관련이 있습니다. 우리 조상들은 24절기 중 망종 때 제사를 지내던 풍습이 있었는데요. 망종은 양력으로 매년 6월 5일 또는 6일로 가장 씨를 뿌리기 좋은 시기랍니다. 그래서 망종 때 모내기를 시작하고, 한 해 농사가 잘 이루어지길 빌며 제사를 올렸다고 해요. 1년 동안 잘 먹고 잘 살기 위해 풍요로움을 비는 망종이 그 해의 가장 좋은 날이라 하여 현충일을 6월 6일로 정했다고 합니다.



현충일은 어떤 날일까요? 그 의미와 역사 이야기  

현충일은 1956년 4월 19일 대통령령 1145호로 제정되었습니다. 현충일이 국가 공식 추모일로 지정된 계기는 한국전쟁입니다. 1950년 6월 25일에 일어난 이 전쟁으로 40만 명 이상의 국군과 100만 명에 달하는 시민들이 사망하거나 부상을 입었죠. 많은 사람들이 나라를 지키기 위해 목숨을 바쳤고 그들의 희생과 아름다운 용기는 조국을 지켜내는 힘이 되었습니다. 



6월 6일 현충일에는 무엇을 해야 할까요? 

-1분간의 묵념, 태극기 게양, 국립현충원 참배를 함께 해주세요!


그분들의 숭고한 희생과 용기를 기리고자 1951년 전쟁 중에 합동 추모식이 거행되었고, 이 행사가 휴전 이후 공식 국경일로 승격된 것입니다. 당시에는 현충기념일로 불리다가 1975년 12월 관공서 공휴일에 관한 규정이 개정되면서 현충일로 공식적으로 개칭되었답니다. 

현충일에는 오전 10시 사이렌 소리와 함께 1분간 묵념을 합니다. 그리고 조의를 표하는 의미로 국기를 게양하고요. 또 이 날에는 대통령 이하 3부 요인 등과 국민들이 국립묘지를 참배하며 추념식이 거행됩니다. 




현충일에는 태극기를 어떻게 달아야 할까요? 

-현충일에 국기 다는 법, 올해는 태극기 달기에 적극 동참하세요.


우리나라 5대 국경일 및 기념일에는 태극기를 깃봉(노랗고 동그란 부분)과 깃면 사이를 떼지 않고 붙여서 답니다. 그러나 현충일은 조의를 표하는 날이기 때문에 깃면의 세로 너비만큼 깃봉에서 내려서 답니다. 이것을 조기(弔旗)라고 하고 이렇게 다는 것이 올바른조기 게양법입니다. 


광복 70주년이자 제60회 현충일을 맞이해 올해 정부에서는‘나라사랑 태극기 달기 운동’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각 시, 도, 지방자치단체에서도 많은 사람들이 태극기 달기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권고하고 있습니다. 이제 올바른 태극기 게양법을 아셨으니, 올해 현충일에는 태극기 달기에 꼭 동참하실 거죠? 


올해 6월 6일 현충일에는 예년보다 더 빼곡히 집집마다 휘날리는 태극기를 볼 수 있었으면 좋겠습니다.



현충일 깨알 정보, 현충일 노래를 들어 보세요! 

겨레와 나라 위해 목숨을 바치니, 그 정성 영원히 조국을 지키네 

조국의 산하여 용사를 잠재 우소서, 충혼은 영원히 겨레 가슴에 

님들은 불변하는 민족혼의 상징, 날이 갈수록 아아 그 충성 새로워라 


(현충일 노래 감상하기 : https://www.youtube.com/watch?v=GVtfM6-DrzI&feature=youtu.be)





민족의 얼이 서린 곳, 국립서울현충원에 가보셨나요?

-애국선열들의 정신을 배울 수 있는 국립서울현충원을 소개합니다. 


조국 광복의 기쁨을 누린지 얼마 되지 않아 한국전쟁이 시작되면서 나라를 위해 싸우다 사망한 전사자들의 수가 늘어나자 이들을 안장할 국군묘지 설치 문제가 대두되었습니다. 정부는 1952년 5월 26일 국군묘지 선정을 위해 국방부 주관으로 3군합동답사반을 편성, 1952년 11월부터 1953년 9월까지 7차에 걸쳐 후보 지역을 답사했습니다. 답사 결과 서울 동작동 현재의 위치를 선정해 1954년 공사를 착공해 묘역을 조성하였고 이후 계속하여 광장, 임야, 공원행정지역 등 관리 영역을 확장해왔습니다. 


1955년 현충원의 창설 당시 명칭은 국군묘지였다가 1965년 국립묘지로 승격되었고, 다시 1996년 국립묘지관리소에서 국립현충원으로 명칭이 공식 변경되었습니다. 이후 동작동 국립현충원의 안장 능력이 한계에 이르자 1979년 4월 대전광역시 유성구에 제2국립묘지를 건설해 같은 해 8월 29일 국립묘지관리소 대전 분소로 출범했습니다. 대전현충원은 1985년 준공된 뒤 1991년 국립묘지대전관리소 승격을 거쳐 1996년 6월 1일 지금의 국립대전현충원으로 공식 명칭이 변경되었습니다. 


국립현충원에는 현재 조국을 지키기 위해 투쟁했던 애국지사 및 나라를 위해 목숨을 바친 국가 유공자, 전몰 국가 장병과 경찰관, 퇴역군인 등 총 165,000여의 영령들이 잠들어 있습니다. 매년 6월 6일 현충일에는 이곳에서 애국선열들의 넋을 기리는 추념행사가 진행되고 있습니다. 





국립서울현충원 정문으로 들어가면 충성분수대, 겨레얼마당을 지나 현충문이 보이며 그 안쪽으로 현충탑(위패 봉안관)이 있습니다. 겨레얼마당 좌측으로 구름다리를 건너면 유품전시관과 현충관, 사진 전시관 등을 볼 수 있습니다. 정문으로부터 북쪽으로는 이승만 대통령, 박정희 대통령, 김대중 대통령의 묘소가 있습니다. 이외에 일반 장병 묘역이 56묘역까지 증설되어 있고, 장군 제3묘역 및 임시정부요인 묘역과 애국지사묘역이 따로 조성되어 있습니다. 


국립서울현충원에서는 묘역 정화활동 및 환경 조성 등 봉사활동과 우리나라를 위해 싸운 영웅들의 발자취를 보고 느낄 수 있는 견학 프로그램 등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홈페이지를 통해 봉사활동 및 견학 프로그램을 신청할 수 있으며 직접 방문이 어려운 분들을 위해사이버 참배도 할 수 있도록 되어 있습니다. 사이버 참배는 안장자 참배, 추모탑 및 제단 참배로 나누어져 있으며 참배 후 추모의 글을 남길 수 있습니다. 지역적으로 멀리 떨어져 현충원 참배가 어려운 유가족, 일반인 분들은 국립서울현충원 사이트의 사이버 참배를 이용해 보셔도 좋을 것 같네요. 


- 국립서울현충원 - 

국립서울현충원 홈페이지 : http://www.snmb.mil.kr

 현충원 개방 시간 : 오전 6시 ~ 오후 6시 

(업무 시설 : 관리사무소, 민원실, 충혼당, 사진 전시관, 유품 전시관, 현충관 등은 

동절기(11월 ~ 2월) 토요일 및 휴일에 휴관합니다.)

 오시는 길 

지하철 - 4호선 동작역 하차, 2/4번 출구, 9호선 동작(현충원)역 하차, 8번출구 

버스 - 국립묘지 정류장 하차 


- 국립대전현충원 - 

 국립대전현충원 홈페이지 : http://www.dnc.go.kr

 주소 : 대전 광역시 유성구 현충원로 251(갑동 산 23-1)

 오시는 길 : 지하철 현충원역 2번출구 앞에서 보훈모시미 차량 탑승 




현충탑 참배, 어떻게 하는 걸까요?

참배순국선열 및 호국영령들의 충의와 위훈을 기리기 위해 추모의 예를 표하는 의식입니다. 국가와 국민을 위해 헌신·희생하신 분들께 감사와 존경의 마음을 표하는 것이죠. 특히 현충일이 되면 현충원은 그 어느 때보다 사람들의 발길이 잦아집니다. 그중에서 가장 북적이는 곳이 바로 현충탑입니다. 현충원 내 추모시설은 누구나 자유롭게 참배할 수 있는 열린 공간입니다. 현충탑 참배는 현충원에 안장되신 모든 안장자에게 참배 드리는 상징적인 곳으로, 현충원에서는 매일 아침 6시 전 향로를 점화, 향 채우기, 제단 등 항상 경건하고 쾌적한 참배 환경을 제공하기 위해 준비합니다. 현충탑에서 드리는 참배는 안장자들의 숭고한 희생정신을 받들어 평화적 통일을 이루고 국가 발전에 기여하겠다는 결의와 다짐을 새로이 하는 소중한 계기로 삼는데 그 의미가 있습니다.

참배 방법은 현충문에서 집례관의 안내에 따라 정렬→ 입장→ 헌화→ 분향→ 순국선열과 호국영령께 대하여 경례(바로)→ 묵념(바로)→방명록 서명의 순서로 진행합니다. 사전 요청 시 참배 후 묘역 등 안내·설명도 함께 받을 수 있으며, 공식적인 참배를 원하시는 분들은 사전 예약을 꼭! 해주시기 바랍니다.


현충탑 참배에 의미를 두는 것은 나라, 애국, 호국이라는 개념이 낡은 유물처럼 퇴색되고 있는 이때, 나라와 조국을 위한 그들의 자발적 희생을 우리의 기억 속에서 되살리려는 노력이 아닐까 싶습니다. 때 이른 무더위에 미리 휴가를 떠나려고 준비하는 분들도 계시지만, ‘호국보훈의 달’인만큼 나라를 위해 자신의 목숨을 바친 분들께 감사의 마음을 가져보는 것이 어떨까요? 현충일을 맞아 여러분도 현충원에 방문해 경건한 마음으로 참배하고, 꽃 한 송이 헌화하는 시간을 보내시길 바랍니다.



저작자 표시비영리변경 금지

Viewing all articles
Browse latest Browse all 1537

Trending Articl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