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수품 37종 한눈에 살펴보기, ‘군수품 제원표’
“전투복은 어떤 원단으로 만들어졌을까?”
“개인장구요대라는 게 뭘까?”
“전투식량은 식단이 어떻게 구성되어 있을까?”
여러분, 혹시 이런 의문 가져보신 적 없었나요?
이런 궁금증을 한번에 해결해드리고자 국방부에서는 장병들이 자주 접하는 군수품 37종에 대한 설명이 담긴 자료!‘군수품 제원표’를 공개했습니다. 군수품 제원표에는 피복류(18종), 개인장구류(12종), 일반물자‧의무물자‧급식(7종)에 대한 사진과 운용개념, 제원이 담겨져 있습니다. 공개된 제원표에 따라 여러분이 궁금해 하시는 사항을 하나하나 풀어드리겠습니다.
*제원 : 기계류 따위에서 크기·무게나 성능·특성 따위를 나타낸 수적(數的) 지표.
먼저 장병들이 군 복무기간 중 가장 많이 사용하는 군수품인 피복류부터 살펴봅니다.
장병들이 복무기간 동안 입는 전투복으로는 사계절 전투복과 하계 전투복 2종이 있습니다. 사계절 전투복의 원단은 폴리에스터와 면으로, 하계 전투복의 원단은 폴리에스터와 레이온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2017년 이후에는 기후 환경에 맞도록 동계 및 하계 전투복으로 변화될 예정입니다.
사계절 전투복
혹한 속에서 국방 임무를 수행하는 장병들의 근무 여건을 보장하기 위한 기능성 방한복은 방한두건, 상의 내‧외피, 하의 내‧외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기능성 방한복
신축성 소재를 사용한 기능성 방한복은 방수‧투습 기능이 적용되었습니다. 또 상의 뒷면에는 발열체 주머니가 별도로 제작되어 있습니다.
군대를 다녀오지 않아도 ‘깔깔이’와 ‘야상’이라는 단어는 한번 쯤은 다들 들어봤을 텐데요. 이것들의 정확한 명칭은 ‘방상내피’와 ‘방상외피’입니다. 장병들의 동계 피복으로 운용하고 있습니다.
방상내피는 퀼팅 원단을 사용해 가벼우면서도 보온력을 높였고, 방상외피는 폴리에스터 안감과 방수‧투습 기능이 있는 원단을 사용하였습니다.
우천 시 장병들의 원활한 임무 수행을 위해 사용하는 우의로는 판초우의와 전투우의가 있습니다. 판초우의는 커다란 망토처럼 생겼으며 전투우의는 상하의가 분리된 형태를 띠고 있습니다.
판초우의 전투우의
전투임무수행 중 장병들의 신체를 보호해주는 보호장구나 몸에 지니고 다니는 전투용 배낭, 반합, 수통과 같은 군장류는 개인 장구류로 분류됩니다.
우리가 흔히 떠올리는 방탄헬멧에는 디지털 무늬의 천이 씌워져 있는데요. 이 천을 가리켜 방탄헬멧 위장포라고 부릅니다.
방탄헬멧 방탄헬멧 위장포
전투조끼는 전투에 필요한 각종 장비를 휴대하는데 이용합니다. 신형 전투조끼는 기존과는 달리 ‘몰리(MOLLE : Modular Lightweight Load-carrying Equipment)’ 시스템을 적용해 파우치 형태로 탈부착 할 수 있도록 고안 되었습니다. 이에 따라 개인장구요대, 구급대, 탄입대 기능을 포함한 통합형 전투조끼로 재탄생했답니다.
전투조끼
개인장구요대는 탄입대, 수통, 야전삽, 권총피 등을 휴대할 수 있도록 만든 다기능 허리띠입니다. 탄입대는 탄알집을 넣어서 휴대할 수 있는 파우치를 말합니다.
개인장구요대 탄입대
전투용 배낭 역시 몰리 시스템을 적용해 각각의 구성품(파우치)을 조합하는 형태로 개선되었습니다. 전투용 배낭은 주배낭, 공격배낭, 보조낭, 어깨낭, 허리낭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전투용 배낭
마지막으로 일반물자와 의무물자, 급식 부분을 살펴볼까요?
군대에서는 관물대에 가족과 여자친구 사진을 붙여두고 이것들을 보며 힘을 얻곤 하는데요. 현재 군에 보급되는 관물대에는 침상형과 침대형이 있습니다. 병영생활관의 현대화로 생활관 형태가 기존 침상형 구조에서 침대형으로 개선되고 있는데요. 관물함 역시 이에 발맞춰 침대형으로 바뀌어 가고 있는 추세입니다.
관물함 신형(침대형) 관물함 2형(침상형)
침상형 관물대는 이불, 베개 등 침구류를 관물대에 보관했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병사들이 사용할 수 있는 공간이 적었습니다. 하지만 관물대가 침대형 구조로 바뀌면서 병사들이 개인용품을 수납할 수 있는 공간도 늘어났습니다.
전투식량은 현재 4가지 종류가 쓰이고 있는데요. 야전과 같이 정상적인 취사가 어려운 환경에서도 급식이 가능한 전투식량 1‧2형은 뜨거운 물에 데워서 먹는 형태입니다. 식단은 3가지가 있습니다.
전투식량 1형 전투식량 2형
▪ 전투식량 1형 식단구성
- 1식단: 쇠고기볶음밥, 조미밥, 김치, 양념꽁치, 볶음고추장
- 2식단: 김치볶음밥, 흰밥, 고기완자, 양념두부, 멸치조림
- 3식단: 햄볶음밥, 팥밥, 김치, 양념소시지, 콩조림
▪ 전투식량 2형 식단구성
- 1식단: 김치밥, 된장국, 초코볼
- 2식단: 야채밥, 두부국, 초코볼
- 3식단: 잡채밥, 계란국, 초코볼
즉각취식형 전투식량은 내부에 발열체가 들어 있어 취사가 불가능한 상황에서도 따뜻한 밥을 먹을 수 있습니다. 특전용 식량은 특전부대 전투식량으로 경량화 된 것이 특징입니다.
즉각취식형 전투식량 특전용 식량
▪ 즉각취식형 전투식량의 식단 구성
- 1식단: 쇠고기볶음밥, 미트로프, 양념소시지Ⅰ, 볶음김치, 파운드케이크, 초코볼
- 2식단: 햄볶음밥, 쇠고기콩가미, 양념소시지Ⅱ, 볶음김치, 파운드케이크, 초코볼
▪ 특전용 식량 식단 구성
- 1식단: 개선미 반압착식, 과자분말 압착식, 초코바, 아몬드 강정, 쥐치포, 땅콩크림, 이온음료
- 2식단: 고열량 압착식, 팥 분말 압착식, 땅콩강정, 초코바, 햄, 땅콩크림, 이온음료
- 3식단: 개선미 반압착식, 빵 분말 압착식, 참깨강정, 초코바, 소시지, 땅콩크림, 이온음료
지금까지 사진과 함께 우리 국군의 각종 군수품을 살펴봤습니다. 다른 군수품들을 더 찾아보고 싶다면 다음에 소개해드릴‘군수품 제원표’를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혹시 군수품에 대한 개선 의견이 있다면 아래 방법으로 국방부 홈페이지 ‘군수품 개선제안’ 게시판에 의견을 올려주세요.
국방부 홈페이지(www.mnd.go.kr) 접속 → ‘국방민원’ 카테고리 → ‘군수품 개선제안’
여러분이 올려주신 소중한 제안들은 우리 국군의 군수품 개선 방안에 참고 자료로 활용됩니다. 앞으로도 국방부에서는 국군 장병들의 전투력 향상을 위해 군수품 개선 · 발전에 힘을 다하겠습니다. 충성!